응모작(2019) 영종도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텔링한 마당놀이

원후종
2020-10-20
조회수 1767

 

1. 배경 및 목적

o 인천 영종도지역에는 ‘선녀바위 전설’이라는 아름답고 감동적인, 유/무형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를 전개하면서 마당놀이를 기획하면, 단순한 풍물놀이가 아니라 이야기가 있는 마당놀이(퓨전 음악)로서, 관광객 및 지역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새로운 인천 문화콘텐츠로 지역 역사문화를 소개하여 관광 경쟁력 강화 필요: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 필요성 대두.

 

o 인천 및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일반시민들은 물론, 타 지역에서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이 다수 방문하고, 방문객 중에는 청소년들이 많은데, 이들은 생동적인 문화에 익숙하고, 재미있는 문화콘텐츠를 좋아하므로, 제안 콘텐츠가 필요함.

 

o 특히 인천시 다수 축제를 개최 및 관광객 유치를 위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콘텐츠의 필요성 대두.

- 송도맥주축제, 영종그린문화축제, 인천송도불빛축제, 인천공항SKY FESTIVAM, 인천풍물대축제, 청라와인페스티벌, 청라뷰티페스티벌, 용유용축제, 정서진 피크닉 클래식, 삼랑성 역사문화축제, 인천 카페앤 디저트쇼, 강화섬 포도축제, 인천해양축제, 소래포구축제 등.

 

2. 축제개요

o 주제 : 영종도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텔링한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o 일정 : 축제 기간 중에 메인무대를 활용하여 공연(기간 중 매일 1회 이상)

o 장소 : 영종도 지역의 축제 메인무대 및 인근지역 축제 메인무대(찬조공연)

o 추진방법 : 첨부 기획서에 의거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o 소요예산 : 1,500만원

 

3. 프로그램 내용

o 개요: 영종도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 선녀바위 전설’을 이용하여, 이로써 총6개 마당으로 편성한 스토리를 전개하고, 스토리와 국악이 결합된 마당놀이를 개발하고, 지역 내 각종 행사에 공연 및 타지역 축제 등 행사시에 찬조공연으로 인천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및 지역 관광, 특산품을 홍보

o 선발된 농악팀에 상기 시나리오를 접목하여 공연물 제작: 60분 내지 90분물 (국악 + 연극으로 구성/대사 진행자는 3--5명. 기타 인원은 ‘얼--쑤’ 등 후렴을 다함께 복창)

 

o 각 마당별 스토리 기획: 첨부 참조(선녀바위 전설로 6개 마당 기획)

- 첫째 마당: 도입부

- 둘째 마당: 호군과 여인의 만남

- 셋째 마당: 여인의 어려운 삶

- 넷째 마당: 호군의 호의/ 소실로 혼인

- 다섯째 마당: 본부인의 질투/ 여인의 자결

- 여섯째 마당: 마감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및 인천시 홍보

 

o 스토리 진행, 사이사이 흥겨운 농악 공연 및 대사, 연기, 코믹한 요소 개발하여, 관객들에게 조상님들의 지혜는 물론, 즐거움을 선사하도록 구성(1개 마당에 10-15분 정도로, 음악 공연 5분여 및 대사에 의한 스토리텔링 5분여 정도로 구성/ 대사 진행 중에도 간단한 악기를 사용하여, 흐름을 묘사---희로애락)

 

o 농악 30분-45분 전후, 스토리 진행 및 연기 30분-45분 전후로 구성하여, 총60분 내지 90분 정도로 구성하되, 실제 공연 시간은, 관객들의 호응도에 따라서 및 연기자의 애드맆에 따라서 증감할 수 있도록 진행

- 공연 진행 중에 일부 출연진이 객석으로 내려와서, 관광객들과 함께 춤을 추도록 유도하여, 다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마당놀이로 진행.

 

o 총사업비: 1,500만원(사업 초기 비용/ 이후 분장용품, 소품, 무대장치 등은 재활용)

예산항목

세부내역

산출근거

소요액(만원)

총계

 

 

1,500

재료비

분장요품

복장 20명*10만

200

소품/핀마이크

10건*20만

200

무대장치 사진

4개*25만/무대 정면.좌우측면, 만장

100

인건비

농악팀 출연료

6회 공연*100만

600

공연물제작/연습비

8회 연습*50만

400

 

4. 기대효과

o 전통 국악예술과 인천지역만의 콘텐츠인 “선녀바위 전설 스토리”를 접목하여, 새로운 예술 장르인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관광객 유치 및 시민들에 즐거움을 선사: 지역에 새로운 문화 창조: 무형유산의 새로운 문화유산 창조/발전.

 

C. 영종도 선녀바위 전설로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마당놀이 기획

1. 첫째마당: 도입부

도입부로 일반적인 농악공연: 사물놀이

출연진 모두: (보통사람들의 과거 일상을 표현)=아이들 놀이: 다함께 숨박꼭질 하기, 남아들은 자치기 하기 및 여아들은 공기놀이 하기 등 연출,

성인남자들은 들에 나가서 농사일 및 바다로 배타고 나가서 고기잡이하고, 여인들은 조개잡이, 집안 살림하고: 청소, 빨래, 밥 짓기 등을 연출.

즐거운 농악 공연: 사물놀이

2. 둘째마당: 호군과 여인의 만남

해설자(양반복장):

조선시대에는 서해의 요지인 영종도에 영종진을 설치했다.

영종진의 군인인 한호군이 상부 명령으로 용유도의 군진시설을 맡아보게 되었다.

비가 오는 어느날, 영종진 방어진의 수군이었던 한호군은 용유도에서 군진 시설을 돌아보고 진영으로 돌아오는 길에

갯벌을 지나는데 조개잡이를 하고 있는 한 여인을 만나보게 된다.

 

비바람이 보는 날에는 사람이 거의 없는데 무슨 연유로 이런 날씨에도 조개잡이를 하는지 궁금해 호군은 그 여인에게 다가갔다.

 

호군역: “무슨 연유로 이런 날씨에도 조개잡이를 하십니까?”

즐거운 농악공연: 사물놀이

 

3. 셋째 마당: 여인의 어려운 삶

해설자(양반복장):

갑작스런 질문에 놀란 여인은 깜짝 놀라 처음에는 대답을 꺼려했으나

호군의 온화한 표정과 부드러운 말씨에 안심하고 사정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

 

여인역: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하루하루를 조개잡이로 연명하며 어렵게 살아가고 있다고...

 

해설자(양반복장):

이야기를 하는 여인의 눈에는 이슬 같은 눈물이 맺혀 있었다.

 

사정 이야기를 들은, 호군은 그 여인과 헤어져 진영으로 돌아오는 길에, 마을 사람에게 여인의 집을 물어 보고 여인의 행실도 알아보았다.

 

호군역: 상기 탐문하는 모습을 연출

 

마을사람들역:

병든 아버지를 간호하느라고 결혼할 생각을 못하고 있었다는 것과

행실 바르고 효심 또한 지극해 동네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한 것....

 

호군역: 호군은 위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해서든지 여인을 도와주고 싶었다.

 

즐거운 국악공연: 사물놀이

 

4. 넷째 마당: 호군의 호의/ 소실로 혼인

호군역:

호군은 집에 몰래 쌀 한 가마를 갖다 놓는 등....연출

여러가지로 그 여인을 도왔다.

 

여인역:

여인은 이상한 생각이 들었으나 누구의 도움인지 전혀 알 수가 없었고

마음 속으로만 고맙게 여길 뿐이었다.

 

호군역:

그렇게 호군은 여인을 몰래 도와주면서 그 여인을 흠모하게 되었다.

하지만 호군에게는 혼인한 부인이 있었다.

 

세월이 흘러 영종진으로 돌아갈 날이 다가오자 호군은 여인을 만나 그 동안 일들을 이야기하고 비록 소실이지만 자신과 혼인을 하여

병든 아버지를 잘 모시자고 했다.

 

여인역:

여인은 소실로 사는 것은 싫었지만, 그동안 자신을 도와준 호군이 매우 고맙고,

호군과 정이 들기도 한데다가, 병든 아버지를 잘 섬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에 승낙했다.

 

그렇게 소실로 들어간 여인은 호군 집 뒤쪽에 별재를 지어 살면서,

군의 사랑을 받으며 행복하게 살았다.

 

호군이 외출하면, 여인은 아버지의 병을 하루 속히 낫게 하기 위해

절에 가서 정성스럽게 불공을 드렸다.

 

즐거운 국악공연: 사물놀이

 

5. 다섯째 마당: 본부인의 질투/ 여인의 자결

해설자(양반복장)

하지만 호군과 소실의 사이가 좋은 것을 시기한 본부인은

호군이 외출할 때마다 소실이 밖으로 나가, 외간 남자를 만나러 나간다고 소문을 냈다.

 

마을사람들역:

소실이 외간남자를 만난다는 이야기- 수군수군 연출

 

본부인역:

어느 날 호군이 우물가를 지나다가 빨래하는 여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 연출- 낯선 남자의 대님을 여인의 방에 놓기.

 

해설자(양반복장)역:

호군의 소실이 외간 남자와 정을 통한다는 이야기였다.

급히 집으로 돌아온 호군이 별채로 나가 보니 여인은 없고

방한쪽 구석에 낯선 남자의 대님이 놓여 있었다.

 

그 대님은 소실을 모함하려고 본처가 꾸민 계략이었는데

호군은 그만 소실의 부정이라고 생각하고 말았다.

 

그 후 호군은 소실의 별채를 찾지 않았고 여인은 아무 이유 없이

찾아오지 않는 호군을 원망하게 되었다.

 

여인은 자신의 누명을 벗고자,

호군에게 자신의 결백을 밝히는, 긴 편지를 남겨 놓고

태평암에서 몸을 던져 자결하고 말았다.

 

이 여인의 시체는 조수에 밀려 호군과 여인이 처음 만난 곳인

용유도 포구에 떠밀려 왔다.

 

후에 이 모든 사실을 안 호군은 자신의 잘못을 깊게 뉘우치고,

후하게 장례를 치렀다.

 

구슬픈 국악공연: 사물놀이 등.

 

6. 여섯째 마당: 마감부/ 인천시 홍보

해설자(양반복장)역:

이때부터 태평암을 선녀바위라고 불렀고 옆에 있는

용유도 포구의 고개를 호군재라고 불렀다.

 

이후로 밤하늘이 유난히 맑은 밤이면 선녀들이 무지개를 타고 내려와

노래와 춤을 추며 노는 장소가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출연진의 일부가 객석으로 내려와서, 관람객(관광객)들과 함께 춤: 연출.....

 

즐거운 농악 공연: 사물놀이 등.

 

양반복장(해설자):

인천직할시 및 인천시 지역 특산품 홍보.

 

인천시 상징물인, 새, 꽃, 나무 소개.

인천시민의 노래를 다함께 합창: 악보를 사전에 배포 또는 화면에 현시.

 

인천직할시 및 인천시의 미래 발전상을 홍보.

 

2019 인천관광 스토리텔링 공모전 출품

 

■ 컨텐츠 등록

유튜브 영상 URL 등록, 또는 파일, 그림, 에세이 등을 등록을 원하시는 분들은 하단에 입력바랍니다

A. 요약

1. 영종도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텔링한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 인천 영종도지역에는 ‘선녀바위 전설’이라는 아름답고 감동적인, 유/무형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를 전개하면서 마당놀이를 기획하면, 단순한 풍물놀이가 아니라 이야기가 있는 마당놀이(퓨전 음악)로서, 관광객 및 관람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새로운 인천 문화콘텐츠로 지역 역사문화를 소개하여 관광 경쟁력 강화 필요: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 필요성 대두.

 

2. 6개 마당으로 구성

- 첫째 마당: 도입부

- 둘째 마당: 호군과 여인의 만남

- 셋째 마당: 여인의 어려운 삶

- 넷째 마당: 호군의 호의/ 소실로 혼인

- 다섯째 마당: 본부인의 질투/ 여인의 자결

- 여섯째 마당: 마감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및 인천시 홍보


B. 영종도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텔링한 마당놀이

1. 배경 및 목적

o 인천 영종도지역에는 ‘선녀바위 전설’이라는 아름답고 감동적인, 유/무형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를 전개하면서 마당놀이를 기획하면, 단순한 풍물놀이가 아니라 이야기가 있는 마당놀이(퓨전 음악)로서, 관광객 및 지역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새로운 인천 문화콘텐츠로 지역 역사문화를 소개하여 관광 경쟁력 강화 필요: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 필요성 대두.

o 인천 및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일반시민들은 물론, 타 지역에서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이 다수 방문하고, 방문객 중에는 청소년들이 많은데, 이들은 생동적인 문화에 익숙하고, 재미있는 문화콘텐츠를 좋아하므로, 제안 콘텐츠가 필요함.

o 특히 인천시 다수 축제를 개최 및 관광객 유치를 위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콘텐츠의 필요성 대두.

- 송도맥주축제, 영종그린문화축제, 인천송도불빛축제, 인천공항SKY FESTIVAL, 인천풍물대축제, 청라와인페스티벌, 청라뷰티페스티벌, 용유용축제, 정서진 피크닉 클래식, 삼랑성 역사문화축제, 인천 카페앤 디저트쇼, 강화섬 포도축제, 인천해양축제, 소래포구축제 등.

 

2. 콘텐츠 개요

o 주제 : 영종도 선녀바위 전설로 스토리텔링한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o 일정 : 축제 기간 중에 메인무대를 활용하여 공연(기간 중 매일 1회 이상)

o 장소 : 영종도 지역의 축제 메인무대 및 인근지역 축제 메인무대(찬조공연)

o 추진방법 : 첨부 기획서에 의거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o 소요예산 : 1,500만원

 

3. 프로그램 내용

o 개요: 영종도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 선녀바위 전설’을 이용하여, 이로써 총6개 마당으로 편성한 스토리를 전개하고, 스토리와 국악이 결합된 마당놀이를 개발하고, 지역 내 각종 행사에 공연 및 타지역 축제 등 행사시에 찬조공연으로 인천시, 인천 지역 관광, 특산품을 홍보

o 선발된 농악팀에 상기 시나리오를 접목하여 공연물 제작: 60분 내지 90분물 (국악 + 연극으로 구성/대사 진행자는 3--5명. 기타 인원은 ‘얼--쑤’ 등 후렴을 다함께 복창)

o 각 마당별 스토리 기획: 첨부 참조(선녀바위 전설로 6개 마당 기획)

- 첫째 마당: 도입부

- 둘째 마당: 호군과 여인의 만남

- 셋째 마당: 여인의 어려운 삶

- 넷째 마당: 호군의 호의/ 소실로 혼인

- 다섯째 마당: 본부인의 질투/ 여인의 자결

- 여섯째 마당: 마감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및 인천시 홍보

o 스토리 진행, 사이사이 흥겨운 농악 공연 및 대사, 연기, 코믹한 요소 개발하여, 관객들에게 조상님들의 지혜는 물론, 즐거움을 선사하도록 구성(1개 마당에 10-15분 정도로, 음악 공연 5분여 및 대사에 의한 스토리텔링 5분여 정도로 구성/ 대사 진행 중에도 간단한 악기를 사용하여, 흐름을 묘사---희로애락)

o 농악 30분-45분 전후, 스토리 진행 및 연기 30분-45분 전후로 구성하여, 총60분 내지 90분 정도로 구성하되, 실제 공연 시간은, 관객들의 호응도에 따라서 및 연기자의 애드맆에 따라서 증감할 수 있도록 진행

- 공연 진행 중에 일부 출연진이 객석으로 내려와서, 관광객들과 함께 춤을 추도록 유도하여, 다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마당놀이로 진행.

 

o 총사업비: 1,500만원(사업 초기 비용/ 이후 분장용품, 소품, 무대장치 등은 재활용)

예산항목

세부내역

산출근거

소요액(만원)

총계

 

 

1,500

재료비

분장용품

복장 20명*10만

200

소품/핀마이크

10건*20만

200

무대장치 사진

4개*25만/무대 정면.좌우측면, 만장

100

인건비

농악팀 출연료

6회 공연*100만

600

공연물제작/연습비

8회 연습*50만

400

 

4. 기대효과

o 전통 국악예술과 인천지역만의 콘텐츠인 “선녀바위 전설 스토리”를 접목하여, 새로운 예술 장르인 마당놀이 개발 및 공연/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관광객 유치 및 시민들에 즐거움을 선사: 지역에 새로운 문화 창조: 무형유산의 새로운 문화유산 창조/발전.

 











 

 

■ 작품설명 (개인의 경험을 가미한 설명을 부탁드려요0







 

 

 

 

1 0